3 minute read

Manual of processing distribution map

김솔아 작성 (2022-07-15)



QGIS란?

QGIS는 데이터 편집 및 분석을 제공하는 자유-오픈 데스크톶 지리정보체계 프로그램이다. 윈도우, 리눅스, 안드로이드 등 다양한 운영체제에서 사용 할 수 있으며, 개발자와 사용자들간의 커뮤니티를 통해 개발 되며 무료로 배포되고 있다.



qgis image





1. 팜맵 편집

공공데이터포털 data.go.kr로 들어간다.

그림

팜맵을 검색하고 파일데이터에서 밑 그림과 같은 정보를 클릭한다.

image



주기성 과거 데이터에서 오른쪽 더보기를 클릭하면 여러 지역의 팜맵정보가 등장한다. 아래로 스크롤을 하면서 시기와 찾는 지역을 클릭해서 다운로드를 진행한다. (zip이라 다운로드 받는데 시간이 좀 걸린다. 인내심을 갖고 기다리면 다운로드가 되어있을 것이다.)

image

image



다운 받은 이후

  • ‘도별로’ 분류된 팜맵 압축풀기
  • 필요한 ‘시군’ 팜맵 압축풀기
  • ‘shp’ 확장자를 가진 파일 QGIS 에서 열기



전라북도의 팜맵을 다운로드 받은 뒤, 김제시의 팜맵만 QGIS로 불러온다. QGIS로 불러올때에는 ‘shp’의 확장자를 가지고 있는 파일만을 불러오면 된다.

이후에 해당 지역(김제시) ndvi(식생지수)파일도 QGIS에 불러온다.

image




  • 좌측 레이어 패널에서 ‘팜맵정보 SHP_전라북도_김제시 2020’을 클릭
  • 영역 또는 단일클릭으로 객체선택(빨강표시)아이콘 클릭 -> SHIFT + 마우스 좌클릭 드래그를 이용하여 필요한 데이터만 선택(노란표시가 선택된것)

image




  • 좌측 레이어 패널에서 팜맵 우클릭 -> export -> 선택한 객체를 다른 이름으로 저장 클릭
  • 포맷 : 사진처럼 설정
  • ‘…’ 클릭 -> 역상을 저장할 경로와 이름 설정(이름은 영어로 설정해둘것)
  • 좌표계 : 영상 좌표계와 동일한 좌표계 설정
  • 확인 클릭

image

이렇게 되면 좌측 레이어 패널에 GJ_clip이라는 레이어가 생성된다.




이제 속성값 추출(구역 통계)를 해볼 것이다. 풋거름 질소량 분포지도를 작성하기 위해서는 ‘조사지점 식생 지상부 질소량(현장데이터)’과 ‘드론 영상으로 산정한 식생지수(NDVI)값’이 필요하다. 내보내기한 팜맵을 활용하여 식생지수(NDVI)값을 추출해보자.

  • 상단의 툴바에서 툴박스 아이콘 클릭
  • 오른쪽 공간 처리 툴박스에 래스터 분석 클릭 -> 구역 통계 클릭
  • 입력레이어 : 내보내기한 팜맵
  • 래스터 레이어 : 식생지수(NDVI) 영상
  • 산출 열 접두어 : ndvi_
  • 계산할 통계 : ‘…’ 클릭 -> ‘평균’ 값만 설정
  • 저장할 경로와 이름 설정 (‘…’ 클릭) 후 실행 클릭

image -> 이렇게 되면 GJ_clip_stats 구역통계가 생성된다.




image

-> 제일 우측의 속성값이 추출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 좌측 레이어 패널에 식생지수(ndvi)를 클릭하고 상단 메뉴바 ‘래스터’ -> ‘추출’ -> ‘마스크 레이어로 래스터 자르기…’ 클릭
  • 입력레이어 : 식생지수(NDVI) 영상
  • 마스크레이어 : 내보내기한 팜맵
  • 산출 밴드에 지정한 NODATA 값을 할당 : ‘0’(옵션)
  • 잘라낸 래스터의 범위를 마스크 레이어의 범위와 일치 ‘체크’ (‘체크’ 안할 시 사각형 형태로 잘라짐)
  • ‘…‘클릭 -> 저장할 경로와 이름 설정
  • ‘실행’ 클릭
  • ‘닫기’ 클릭

image

래스터 자르기 결과물은 아래와 같다. image




질소량 회귀식을 표현식에 적용하여 질소량 분포지도를 만들기 위해서는 ‘SCP(Semi-Automatic Classification Plugin)’플러그인을 설치해야 한다.

  • 상단 메뉴바 ‘플러그인’ -> ‘플러그인 관리 및 설치…’ 클릭
  • 검색창에 ‘Semin-Automatic Classification Plugin’ 검색 후 플러그인 설치 클릭

image

SCP 플러그인을 이용하여 질소량 분포도를 만든다.

  • 좌측 상단 SCP(빨간 표시) 아이콘 클릭
  • SCP창 좌측의 ‘Band calc’ 클릭
  • ‘Expression’창에 질소량 회귀식(초록색 식) 입력
  • 오른쪽 방향 화살표(RUN, 빨간표시) 클릭

image

-> **질소량 분포지도**(GJ_ndvi_clip) 완성


  • 좌측 레이어 패널에 내보내기한 팜맵을 클릭
  • 상단의 툴바에서 툴박스(톱니바퀴) 아이콘 클릭
  • 래스터 분석 클릭 -> 구역 통계 클릭
  • 입력레이어 : 내보내기한 팜맵
  • 래스터 레이어 : ‘질소량 분포지도’ 영상
  • 산출 열 접두어 : ND_
  • 계산할 통계 : “…” 클릭
  • 계산할 통계 설정 -> ‘평균’값만 설정
  • ‘…’ 클릭 -> 저장할 경로와 이름 설정 (파일 확장자명을 반드시 .csv로 저장)
  • ‘실행’ 클릭

image




  • 내보내기한 팜맵 우클릭 -> 속성 클릭
  • 레이어 속성창 좌측 ‘결합’ 클릭
  • 새결합 추가 아이콘(밑에 초록색 ‘+’ 모양) 클릭
  • 결합 레이어 : 구역통계한 csv파일 클릭
  • 결합된 필드 ‘체크’ -> ND_mean 데이터 선택
  • 확인 클릭 후 적용 클릭
  • 결합된 팜맵 우클릭 -> ‘속성 테이블 열기’ 클릭
  • 제일 우측의 ‘결합’된 ‘질소량 분포지도’ 데이터 값 확인

image

image




  • 좌측 레이어 패널에서 내보내기한 팜맵 우클릭 -> 속성 클릭 -> 좌측 ‘필드’ 클릭 -> ‘필드 계산기’(빨간표시 클릭)
  • 산출 필드 이름에 이름 설정 -> 산출 필드 유형 : ‘십진수(실수)’
  • 표현식 빈칸에 ‘결합된 데이터 필드명’ 입력
  • ‘확인’ 클릭

image

image -> 실수형으로 표현된 결합 데이터 필드 생성 완료 (GJ_ND_mean, 빨간표시) -> 적용 누르고 확인 클릭




  • 좌측 레이어 패널에서 내보내기한 팜맵 우클릭 -> ‘속성 테이블’ 클릭 -> 빨간 표시대로 맞춰주고 모두 갱신 버튼 클릭

image -> GJ_ND_mean값이 Null값에서 실수형태의 GJ_ND_ND_mean의 값으로 맞춰짐




  • 내보내기한 팜맵 우클릭 -> ‘속성’ 클릭 -> ‘심볼’ 클릭 -> ‘단일 심볼’을 ‘단계 구분’으로 변경 -> ‘값’ 칸에 실수형태의 결합된 데이터 필드명 선택 -> 색상 선택 -> ‘분류’(빨간표시) 클릭 -> ‘적용’ 클릭 후 ‘확인’ 클릭

image

image

=> 완성된 필지별 질소량 분포지도 확인.




2. 조판 형성하기

  • 상단 메뉴바 ‘프로젝트’ 클릭 -> ‘새 인쇄 조판…’ 클릭
  • ‘조판 인쇄 생성’창 활성화 -> 지도 이름 입력 -> 확인 클릭
  • 좌측 툴바에서 ‘지도 추가’ 아이콘 클릭
  • 흰색 배경에 ‘좌클릭 + 드래그’ 이용하여 ‘필지별 질소량 분포지도’ 추가

image




  • 좌측 툴바에서 방위표 추가 아이콘 클릭
  • 흰색 배경에 ‘좌클릭 + 드래그’ 이용하여 ‘방위표’ 추가
  • ‘방위표’ 선택된 상태에서 ‘항목 속성’ 클릭 -> 디자인 변경 가능

image




  • 좌측 툴바에서 범례 추가 아이콘 클릭
  • 흰색 배경에 ‘좌클릭 + 드래그’ 이용하여’ 범례 추가
  • ‘범례’ 선택된 상태에서 ‘항목 속성’ 클릭
  • ‘범례 항목’에서 ‘자동갱신’ 체크 된 상태 -> 범례 편집 불가
  • ‘범례 항목’에서 자동갱신’ 체크 해제된 상태 -> 범례 편집 가능 -> 필요한 항목만 편집 후 디자인 변경해가며 범례 완성

image




  • 좌측 툴바에서 축척 막대 추가 아이콘 클릭
  • 흰색 배경에 ‘좌클릭 + 드래그’ 이용하여’ 축척 막대 추가
  • 축척 막대 선택된 상태에서 ‘항목 속성’ 클릭
  • 단위 설정, 선분 설정

image




  • 상단 메뉴바 ‘조판’ => ‘PDF로 내보내기…’ 클릭
  • 저장할 경로와 이름 설정 후 ‘저장’ 클릭
  • PDF 내보내기 옵션 기본값 그대로 ‘저장’ 클릭

image




GJ_Readme_map_1

-> PDF파일로 내보내진 ‘필지별 질소량 분포지도’ 완성!

Leave a comment